Red Hat Virtualization
저작권 © 2007 Red Hat, Inc.
초록
이 가이드는 virsh, xm, vmm, xend를 사용하여 Red Hat Enterprise Linux 5에서 게스트 운영 체제를 구성, 생성, 감시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다루고 있습니다.
Red Hat Enterprise Linux 가상화 가이드에서 오자를 발견하시거나 가이드를 발전시킬 좋은 제안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저희에게 알려주시기 바랍니다! 버그질라(http://bugzilla.redhat.com/bugzilla/)에서 Red Hat Enterprise Linux 제품과 Virtualization_Guide에 대한 버그 리포트를 제출해 주시기 바랍니다.
차례
- 1. Red Hat Virtualization 시스템 구조
- 2. 운영 체제 지원
- 3. 하드웨어 지원
- 4. Red Hat Virtualization 시스템 요구사항
- 5. 시스템 시작
- 6. GRUB 설정
- 7. 게스트 도메인 시작
- 8. 시스템 시작시 도메인 시작/종료
- 9. 구성 파일
- 10. CPU 관리
- 11. 도메인 이전
- 12. 네트워크 사용을 위한 구성
- 13. domain0 보안
- 14. 저장 공간
- 15. virsh를 사용한 가상 장치 관리
- 2. 운영 체제 지원
-
- 15.1. hypervisor 접속
- 15.2. 가상 장치 생성
- 15.3. XML 덤프 설정
- 15.4. 가상 장치 보류
- 15.5. 가상 장치 재시작
- 15.6. 가상 장치 저장
- 15.7. 가상 장치 복구
- 15.8. 가상 장치 종료
- 15.9. 가상 장치 재부팅
- 15.10. 도메인 종료
- 15.11. 도메인 이름을 도메인 ID로 변환
- 15.12. 도메인 ID를 도메인 이름으로 변환
- 15.13. 도메인 이름을 UUID로 변환
- 15.14. 가상 장치 정보 표시
- 15.15. 노드 정보 표시
- 15.16. 가상 장치 표시
- 15.17. 가상 CPU 정보 표시
- 15.18. 가상 CPU 동질성 설정
- 15.19. 가상 CPU 개수 설정
- 15.20. 메모리 할당량 설정
- 15.21. 최대 메모리 설정
- 15.2. 가상 장치 생성
- 15.1. hypervisor 접속
- 16. xend를 이용한 가상 장치 관리
- 17. xm을 사용한 가상 장치 관리
-
- 17.1. xm 구성 파일
- 17.2. xm을 사용한 도메인 생성과 관리
-
- 17.2.1. 도메인 접속
- 17.2.2. 도메인 생성
- 17.2.3. 도메인 저장
- 17.2.4. 도메인 ID 종료
- 17.2.5. 도메인 종료
- 17.2.6. 도메인 복구
- 17.2.7. 도메인 보류
- 17.2.8. 도메인 재시작
- 17.2.9. 도메인 재부팅
- 17.2.10. 도메인 새이름
- 17.2.11. 도메인 정지
- 17.2.12. 도메인 정지해제
- 17.2.13. 도메인 이름을 도메인 ID로 변환
- 17.2.14. 도메인 ID를 도메인 이름으로 변환
- 17.2.15. 메모리 할당량 설정
- 17.2.16. 최대 메모리 설정
- 17.2.17. VCPU 개수 설정
- 17.2.18. VCPU 고정
- 17.2.19. 도메인 이전
- 17.2.2. 도메인 생성
- 17.2.1. 도메인 접속
- 17.3. 감시와 진단
- 17.4. 가동시간 표시
- 17.5. VCPU 정보 표시
- 17.6. 도메인 정보 표시
- 17.7. TPM 장치 표시
- 17.8. xend 로그 표시
- 17.9. 메세지 버퍼 표시
- 17.10. ACM 상태 정보 표시
- 17.11. vnet 표시
- 17.12. 가상 블록 장치 표시
- 17.13. 가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표시
- 17.14. 새로운 네트워크 장치 생성
- 17.15. 가상 네트워크 장치 종료
- 17.16. 새로운 vnet 생성
- 17.17. vnet 종료
- 17.18. 도메인 보안 수준 생성
- 17.19. 도메인 자원 검사
- 17.20. 시스템 자원 표시
- 17.21. 그레디트 스케줄링 생성
- 17.22. 새로운 가상 블록 장치 생성
- 17.23. 가상 블록 장치 종료
- 17.24. 보안
- 17.5. VCPU 정보 표시
-
- 17.24.1. 도메인 보안 레이블 제거
- 17.24.2. 자원 보안 레이블 생성
- 17.24.3. 자원 보안 레이블 제거
- 17.24.4. 접근 제어 설정
- 17.24.5. 정책 생성
- 17.24.6. 정책 로드
- 17.24.7. 시작 구성을 위한 정책 생성
- 17.24.8. 레이블 생성
- 17.24.9. 정책 레이블 표시
- 17.24.10. 도메인 보안 레이블 표시
- 17.24.11. 자원 보안 레이블 표시
- 17.24.12. 접근 제어 보안 설정
- 17.24.13. 보안 정책 컴파일
- 17.24.14. 보안 정책 로드
- 17.24.15. 시작 보안 정책 설정
- 17.24.16. 보안 레이블 표시
- 17.24.17. 보안 레이블 추가
- 17.24.2. 자원 보안 레이블 생성
- 17.24.1. 도메인 보안 레이블 제거
- 18. 가상 장치 관리자를 사용한 가상 장치 관리
- 19. Red Hat Virtualization 문제해결
-
- 19.1. 로그 파일 개요 및 위치
- 19.2. 로그 파일 설명
- 19.3. 주요 디렉토리 위치
- 19.4. 문제해결 도구
- 19.5. 로그를 사용한 문제해결
- 19.6. 직렬 콘솔을 사용한 문제해결
- 19.7. 반 가상화 게스트 콘솔 사용
- 19.8. 완전 가상화 게스트 콘솔 사용
- 19.9. lun 지속성 구현
- 19.10. SELinux 고려사항
- 19.11. 게스트 디스크 이미지에서 데이터 사용
- 19.12. 일반 문제해결 상황
- 19.13. 루프 장치 오류
- 19.14. 게스트 생성 오류
- 19.15. 직렬 콘솔 오류
- 19.16. 네트워크 브리지 오류
- 19.17. 랩톱 구성
- 19.18. 시스템 시작 시 자동으로 도메인 시작
- 19.19. domain0 수정
- 19.20. 게스트 구성 파일
- 19.21. 게스트 구성 파일 클론
- 19.22. MAC 주소를 생성하는 스크립트 구성
- 19.23. 가상 장치 실시간 이전 설정
- 19.24. 오류 메세지 해석
- 19.25. 온라인 문제해결 자료
- 19.2. 로그 파일 설명
- 19.1. 로그 파일 개요 및 위치
- 20. 추가 자료
- A. Revision History
- B. 실습 1
- C. 실습 2
- B. 실습 1
'OS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Linux] Enterprise Storage on RHEL4 (0) | 2009.02.27 |
---|---|
[Linux] 리눅스 시스템 최적화 튜닝 (0) | 2009.02.11 |
[Linux] 커널 - 프로세스간 통신 메커니즘 (0) | 2009.02.11 |
[Linux] core dump (0) | 2009.02.11 |
[Linux] Using Linux Logical Volume Manager with SDD (0) | 2009.01.08 |
[Linux] Red Hat Enterprise Linux 4 보안 가이드 (0) | 2008.12.26 |
[Linux] Red Hat Enterprise Linux 4 .6 Release Notes (0) | 2008.12.26 |
[Linux] Red Hat Enterprise Linux 4 Update 2 Release Notes (0) | 2008.12.26 |
[Linux] 디스크 덤프 유틸리티를 사용하여 vmcore 파일 만드는 방법 (1) | 2008.12.26 |
[Linux] Red Hat 표준시간(Time zone) 설정 (0) | 2008.11.03 |